봇 설정
봇 설정이란 봇의 각종 정보를 변경/수정하는 메뉴이며, 봇의 타입에 따라서 설정 메뉴의 구성이 다릅니다. 챗봇은 한 개의 설정 메뉴를 제공하며, 보이스봇은 봇 심사 및 설정 앱에 노출된 내용을 작성하기 위한 ‘보이스봇 설정’과 챗봇의 설정과 유사한 ‘관리’ 메뉴를 제공합니다.
Information.
본 페이지에서는 카카오톡 채널 챗봇의 '설정' 메뉴와 보이스봇의 '설정 > 관리' 메뉴에서 제공하는 공통 설정 기능을 설명하며, 보이스봇 설정은 별도 가이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기본 정보
봇 기본정보 영역에서는 봇의 이름, 운영 채널 연결, 개발 채널 연결, 봇ID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봇 이름 : 필수 정보이며, 특수 기호 없이 최대 20자까지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.
- 운영 채널 : 실 서비스 목적의 카카오톡 채널
- 개발 채널 : 개발 및 테스트 목적의 카카오톡 채널
- 운영 채널 연결 : 봇에 연결할 운영 채널을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. 봇을 만든 후, 한 번이라도 배포해야 이 채널과 연결됩니다.
- 개발 채널 연결 : 봇을 배포하기 전에, 챗봇 관리자센터에서 설계 및 저장한 상태의 봇을 연결할 개발 채널을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. 운영 채널과 동일하게 카카오톡 채널 관리자센터에서 생성하실 수 있으며, 내부 테스트를 위해서 사용할 카카오톡 채널을 연결하시면 됩니다.
- 봇 카테고리 : 연결된 카카오톡 채널의 카테고리로 자동 설정됩니다.
- 앱키 설정 : 기본 정보 영역에서는 마스터가 ‘앱키 설정’을 할 수 있습니다. 앱키 설정은 제 3자 정보제공 동의가 필요한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봇 설계 시 필요하며 kakao developers를 통해 사용자의 특정 정보를 카카오에서 제공받는 기능을 설정합니다.
Information.
상세한 설정 방법은 튜토리얼 > 비즈니스 인증 채널과 디벨로퍼스 앱 연결하기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.
- 봇 ID : 봇이 가진 고유한 ID입니다.
챗봇의 설정 중 기본 정보
보이스봇의 설정 > 관리 탭의 기본 정보
봇 상태
봇 상태 영역에서는 봇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, 제재를 받거나 기타 문제가 생기게되면 해당 영역에 상태정보와 사유정보가 노출되게 됩니다.
- 봇 생성 후, 한 번도 배포한 적이 없는 경우: 준비 (정상)
- 첫 번째 배포 후, 정상적으로 봇이 작동하는 경우: 실행 (정상)
- 봇이 제재를 받아 정지 되었을 때: 차단
실행중인 봇 상태
봇 삭제
봇 삭제영역은 마스터에게만 제공되는 기능으로 클릭시 확인 후, 봇을 삭제하게 됩니다. 삭제를 신청하면 7일 후 봇이 삭제됩니다. 이 기간동안 함께 봇을 제작한 공동 작업자들과 마스터는 봇 삭제에 대해서 협의하고 봇 삭제를 취소할 수 있습니다. 해당 기간이 지나면 봇은 완전 삭제되고 복구가 불가능합니다.
마스터가 봇 삭제를 클릭하면, 다시 한 번 확인 후 삭제를 진행합니다
Caution.
봇 삭제가 안 되는 경우, 주요 기능 사용법 을 참고하여 챗봇에 연결된 월렛이 해제되었는지 확인해주시길 바랍니다.